내가 나이들었음을 느낄 때 즐겨보는 Luna Park 이란분의 만화에서 이런 주제의 글이 올라왔는데 너무 공감이 된다. 그래도 최소한 뭔가를 싫어하는 것보다 좋아하는 것이 훨씬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 것 만으로도 조금 성장한 것 같다.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내것이 아닌것들을 내려놓고 주변의 것들을 좀 더 편한 시선으로 바라볼줄 아는... 이런 변화가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도 있겠지만, 사실 삶을 살면서 찾게 되는 노하우같은게 아닐까? 이렇게 해봤더니 별로 힘들지 않고 괜찮더라 같은.. 더보기 Investors hunting for signs of economic growth Investors hunting for signs of economic growth With market rally on hold, traders seek signs of actual economic growth But with an almost six-month rally leaving the Dow Jones industrials less than 500 points away from 10,000, analysts say it will now take, if not actual economic growth, then strong momentum toward that growth to extend Wall Street's gains. And this week's economic reports, incl.. 더보기 개발자만 탓할게 아닐텐데? Why Are Many Developers Living In District 9? 개발자들이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좋은 프로그램 못만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것 같다. 이런분들 PM으로 모셔놓으면 항상 하시는 말씀이 "전 개발자 출신이 아니여서 기술적인건 잘 모르겠구요..(그냥 대충 알아서 잘 만들어주세요)" 그럼 반대로 "전 비즈니스 전공이 아니여서 비즈니스는 잘 모르겠구요..(그러니까 그냥 배째세요)" 이런건 안되나? Understanding the business does not mean you read the docs. It means you know the business in your bones. 이거 뭘 바라는거지? 비즈니스도 뼈속까지 이해해서 알아서 혼자 뚝딱 좀 만들.. 더보기 마인드맵핑 iPhone and iPod touch (SimpleMind) [SimpleMind] 왠지 항상 머리속엔 뭔가 정리해야 할것 같은 느낌이 있어서 그런지 마인드맵핑 프로그램을 아주 애용하는 편이다. 이런 각박증은 작정을 하고 시간을 내서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하고 정리하는 시간뿐만 아니라 잠깐씩 비는 시간에도 뭔가 떠오르기도 한다. 그래서 내 이 프로그램이 얼마전부터 아이폰에 몇 안되는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중에 하나가 되었다. 사용법은 보통 마인드맵핑 프로그램이 그렇듯이 2초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만큼 단순하고 유료버젼과 무료버젼의 차이점은 작성된 맵을 외부로 보낼수 있는지 없는지에 차이가 있다. 더보기 온라인 익명성 (Skanks of New York 사건) 한국에서는 이미 온라인의 익명성이라는 특성이 사라지기 시작하고 있는듯 하다. 또 이미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에서의 개인 프라이버시에 대해서 무감각해진듯이 보인다. 유명 연예인등이 인터넷에 올려진 악플로 네트즌을 고소를 한다던지 하는일은 그 내용에 대한 이슈지 더이상 그 행위 자체는 당연시 되고 있으며, 검찰의 수사는 개인정보라는 단어는 아예 존재조차 하지도 않은것 처럼 이메일이든 블로그든 무엇이든 가져다 사용할수 있고, 한국 포털 사이터들은 국가 전산실 처럼 요청만 하면 모든 자료를 바로 제출하고 있는것 처럼 보인다. 사이버망명이라는 말이 생겨날 만큼 익명성은 커녕 기본적인 프라이버시도 위협받고 있는 것이 한국의 인터넷 현실이다. 최근 미국에서 "Skanks of New York"라는 블로그를 둘러싼고 온.. 더보기 구글 보이스(Google Voice) 구글은 구글폰으로도 알려져 있는 안드로이드(Android)프로젝트를 이끌면서 모바일 스마트폰 시장 진입을 시작하고 있는데 그중에 최근 이슈가 되는 서비스중에 하나가 Google Voice 이다. 지난 2007년 launchpad라는 회사를 50만불에 인수한후 이회사에서 월 $15에 제공하던 Grand central이라는 서비스를 최근에 Google Voice라는 이름으로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기본적으로는 한국에서도 오래전부터 있었던 평생번호라는 서비스와 비슷한 개념인데 기능등이 상당히 매력적이다. 기본적인 콜 포워딩 뿐만 아니라 구글 주소록과 연동되어서 특정번호나 그룹에는 다른 전화로 포워딩을 시킬수도 있고 다른 응답메세지를 들려줄수도 있다. 또한 문자메세지나 음성메세지도 웹상에 기록이 되고 웹에서.. 더보기 트위터 통계 살펴보기 확실히 요즘 인터넷에서 주목받는 트랜드는 트위터인듯 싶다. 마이크로 블로깅이라는 생소한 개념으로 시작해서 만 3년이 되기도 전에 3,2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하루 2,000만건이 넘는 메세지를 처리하는 대형 서비스로 발전했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큰 성공을 이루고 트랜드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여러곳에 있겠지만, 일단 숫자로 증명할 수 있는 여러가지 통계를 살펴보는 일이 먼저 필요할듯 하다. 1) 140자로 제한되는 짧은 공간에 무슨 내용을 쓰는가 출처: http://www.emarketer.com/Article.aspx?R=1007238 위의 기사에 의하면 역시 제일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내용은 "지금 샌드위치 먹는중" 과 같은 의미 없는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그와 비슷한 .. 더보기 알파늑대와 팀프로젝트 알파늑대와 팀프로젝트 카테고리 경제/경영 지은이 요하네스 포스 (한스미디어, 2009년) 상세보기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것은 그에 사용된 방법이나 수단보다는 프로젝트에 참가한 사람들에 의한 경우가 더 많다.이 책은 최고의 팀 플레이어인 늑대에 비유하여 성공적인 프로젝트 경영을 위한 근본적인 구성요소와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보여준다. 얼마만큼 늑대의 특성이 인간이 진행하는 프로젝트 관리에 적용 가능한지 혹은 이런 시도 자체가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늑대는 무리지어서 협업을 통해서 사냥을 하며 생각보다는 그 협업의 수준이 높은것 같았다. 사실 전반적인 책의 진행은 늑대의 생태로부터 팀프로젝트에 관련된 배울점을 찾는다기 보다는 그 생태를 관찰고 인간의 팀프로젝트에 적절한 ..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