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물에서 놀고 싶은 개발자를 위한, 해외 진출 방법론 이라니.. 요즘 연속으로 미국에서 개발자로 취업하는 내용에 대해서 포스팅하고 있는데" 큰물에서 놀고 싶은 개발자를 위한, 해외 진출 방법론" 이라는 글이 눈에띄었는데 내용이 좀 현실적이지 않게 느껴졌다. 먼저 외국에서 산다는것 자체가 장점과 단점이 있고 아니면 그 결정에 대한 영향은 이후의 삶을 완젼히 바꿀만큼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일단 해외 진출을 생각하는 개발자는 위의 글에서 처럼 두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충분한 고민과 대안을 준비해야 한다. 첫번째가 영어문제, 물론 개발직은 영업이나 기획, 관리직등 대인관계가 일반적인 직종군에 비해서는 언어적인 스킬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당연히 직장내에서는 충분한 정도의 영어 수준이 요구된다. 간단히 예를 들어서 영화나 뉴스등의 내용을 자막없이 최소한 8.. 더보기 미국에서 프로그래머 채용 절차(컨설턴트) 미국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는 방법은 일단은 크게 정규직과 컨설턴트로 나눠지는데 컨설턴트 부분은 좀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다. 사실 계약직이나 채용조건 계약직등 좀 더 세분화 시켜서 구분할 수도 있지만, 크게는 정규직과 컨설턴트로 나눠지게 된다. 컨설턴트는 간단하게 Staffing Company 혹은 Staffing agency라고 불리는 파견업체에 소속된 직원으로 급여나 휴가등은 소속된 파견업체에서 받게되고 근무는 해당 회사에서 하게 된다. 경에 따라서는 취업비자도 파견업체에서 지원해주기도 한다. 일단 파견업체와 계약을 하게되면 업체에서 소개해주는 회사들과 인터뷰일정이 잡히는데 주로 1년 이하의 단기 프로젝트에 대한 수요이기 때문에 투입되어서 바로 작업이 가능한 경력이 취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예.. 더보기 미국에서 프로그래머 채용 절차 미국에서는 프로그래머나 IT직종의 채용절차가 다른 분야에 비해서 상당히 다르다. 대학교 동문의 추천으로 얼마전 부터 인터뷰 절차가 시작되었는데 진행하면서 새삼 느끼게 되었다. 아래의 내용은 대략 정규직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컨설턴트는 또다른 절차로 진행된다. 먼저 회사내의 리쿠르터가 온라인 구직사이트등이나 회사 지원시스템등에 등록되어 있는 이력서를 검색하거나 이변 경우처럼 직원추천으로 받은 이력서를 검토한다음 1차 스크리닝 인터뷰를 진행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쿠르터가 바로 전화해서 간단한 스크리닝 인터뷰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스크리닝 인터뷰는 대략적인 경력사항에 대한 질문등 과거 프로젝트 경험등에 대한 질문과 테크니컬 인터뷰등으로 나눠어 지는데 터크니컬 인터뷰는 알고리즘관련 질문들이 주로였다. .. 더보기 MSN.com 이 색깔을 바꾸나? 오늘 MSN.com 들어갔더니 윈도우의 하늘색 파란색으로 대표되던 마이크로 소프트의 컬러를 흰색으로 확바꾼 디자인이 나타났다. 물론 색깔만 바꾼게 아니고 메인페이지 안에서 라이브 메신져 연결되고 페이스북과 트위터까지 된다. 빙검색이나 윈도우7 등 확실히 많이 좋아졌다.. 더보기 클론질라(Clonezilla): 노턴 고스트(Norton Gost) 대체하고도 남는, 아주 예전에 컴퓨터좀 한다고 하던사람들의 필수 유틸리티의 하나가 노턴의 고스트란 프로그램이다. 노턴이 지금처럼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 회사로 알려지기 전에 PC TOOLS와 같은 각종 유틸리티 프로그램들로 명성을 날리던 시절부터 디스크 백업 복사등의 작업용 프로그램으로는 지금까지도 아주 독보적인 위치를 고수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바로 고스트다. 클론질라(Cponezilla)는 정확하게 노턴 고스트의 역활을 대체할 수 있고는 프로그램으로, UI 디자인은 상용프로그램에 비해 많이 떨어지지만 오히려 사용법도 직관적이고, 오픈소스의 무료 소프트웨어 이고, SSH, FTP, SAMBA등네트워크 지원이 오히려 고스트보다 낳다. 물론 주변장치 인식이나 안정성등도 아주 만족 할만한 수준이였다. 더보기 리눅스 시스템 모니터링 윈도우에는 기본적으로 Ctl+Alt+Del만 눌러도 테스크 매니저를 통해서 시스템 퍼포먼스를 확인 할 수 있고, 서버제품군에는 상세히 리소스 모니터를 할 수 있어서 어느 지점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지만, 리눅스 서버에서는 기본적으로는 GUI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proc 파일들을 열어보거나 ntop과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이 최선이다. 기타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목록은 아래와 같다. - Network Monitoring tcptrack, iptraf - CPU, Memory Monitoring top, free, vmstat - Disk I/O Monitoring iostat(sysstat) avg-cpu: %user %nice %system %iowait %steal %.. 더보기 실시간 접속통계 최강 Woopra Woopra는 작년 베타때부터 정말 유용하게 잘 사용하고 있는 실시간 접속통계 프로그램이다. 말 그대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방문상황이 모니터링 되기 때문에 Google Analytics 등의 통계 정보로는 모자란 부분을 200%잘 채워주는 프로그램이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서비스 웹사이트 같은 경우는 결제가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알람소리가 나게 설정을 한다던지, 현재 방문자에게 개별 대화창을 띄워서 실시간 채팅등도 가능하고 일반 블로거나 개인 홈페이지 운영자 뿐만 아니라 상업용 웹사이트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만한 기능이 많이 있다. 얼마전에 드디어 베타를 떼고 유료로 전환이 되었는데 월 30,000 페이지뷰까지는 여전히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더보기 윈도우용 (작은) 필수 프로그램들 오랫만에 컴퓨터 포멧하고 다시 설치하면서 습관처럼 꼭 필요한 없으면 정말 아쉬운 프로그램들이 몇가지 있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1. Synergy - 마우스 키보드 공유 프로그램, 데스트탑과 노트북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데 거의 듀얼모니터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2. TeamViewer - 온라인 미팅, 원격지원 프로그램으로 가볍고 설치가 간단. 3. Virtual CloneDrive - 가상드라이브 프로그램 4. DropBox - 웹하드 개념의 온라인 파일싱크 프로그램 5. VirtualBox - VM Ware 같은 가상머신 프로그램 더 좋은 점은 위의 프로그램 모두 무료이거나 무료버전만 사용해도 충분히 만족할 만한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는것!!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