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돈으로 하는 모의투자 게임 (UMOO) Financial Entertainment 라고 슬로건을 붙이고 미국에서 서비스 하는 UMOO 라는 사이트가 있다. 한국에서도 많이 하는 모의 주식투자 대회와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컨셉인데 거기에 게임적인 요소를 추가한듯 하다. (http://www.umoo.com/) 미국 상장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꾸려서 수익율을 가지고 순위를 정하게 되는데 하루안에 끝나는 게임도 있고, 1주일 혹은 더 오랫동안 하는 게임도 있다. 보통 모의 주식투자 대회와 다른점은 참가하는 사람들이 얼마간의 참가비를 내고 순위에 올라간 사람들이 그 돈을 상금으로 받게 한다는 것이다. 이런게 불법이 아니라니 ;; 더보기 투자의 단계 1. 무념 무상의 단계: 아무 생각없이 그냥 많이 오른것 같으면 숏,많이 내린것 같으면 롱.. 그런데 이것이 돈이 되고 구좌는 늘어나니 이렇게 돈벌기 쉬운것을 내가 왜 진작 몰랐던가? 그러나 결과는 두고볼 지어다. 2. 천방지축 단계: 어느날 부터 많이 오른것 같아서 숏포를 구축하니 시장은 계속 오르고 놀라서 손절하고 롱으로 전환하니 내리기 시작하고, 구좌는 줄어 들고, 갈팡질팡 매매 기준도 없고, 천방지축으로 매매하니 여기서 자칫 감정을 콘트롤 하지 못하면 (첫번째 깡통)은 여기서 나오더라. 3 . 기웃 기웃 단계: 파생에 성공 하려면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더라 책도 보고 좋다는 강의는 다 쫒아 다녀보고 여기 기웃 저기 기웃 그러나 공부 할수록 아리송 한것이 매매에 자신도 없고 기웃 기웃 하다보니 이익은.. 더보기 스토캐스틱(Stochastic)에 대한 종합분석 (1) 의미 Stochastics는 적용기간 중에 움직인 가격 범위에서 오늘의 시장가격이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로써, 시장가격이 상승추세에 있다면 현재가격은 최고가 부근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고, 하락추세에 있다면 현재가는 최저가 부근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2) 계산식 ① Stochastics Fast 계산식 %K={(당일종가-최근 n일동안의 최저가)/(최근 n일동안의 최고가-최근 n일동안의 최저가)} * 100 %D= %K를 n일간 지수이동평균한값 ② Stochastics Slow 계산식 K={(당일종가-최근 n일동안의 최저가)/(최근 n일동안의 최고가-최근 n일동안의 최저가)} * 100 %K= K를 n일간 지수이동평균한값 %D= %.. 더보기 투자 심리 (손절매) 매몰비용 효과 매몰비용이란 다시 찾을수 없는 이미 지불된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면 극장에서 영화관람을 하는데 기대보다 영화가 못미치는 경우 재미없는 영화를 억지로 보며 극장에서 시간낭비 하는것 보다는 영화 관람료를 포기하고 중간에 나가서 다른 일을 하는 것이 생산적일 것이다. 하지만, 매몰비용 효과 때문에 영화 관람료 이외에 추가적으로 시간까지 낭비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주식 투자에서는 매수 가격 이하로 가격이 떨어지는 경우 손절매를 못하고 보유하게 된다. 인지적 부조화 이론 인지적 부조화 이론은 서로 상반된 두개의 가치가 충돌할 경우 편리한 쪽으로 자기 합리화를 시도하게 되는 경우다. 많은 경우 편리한 자기 합리화는 이성적이지 않은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주식 투자에서는 오를것으로 기대하고 매수.. 더보기 차트 읽기 (다우), SPY 30분 차트 어제 오후부터 반등했지만 20평의 강한 저항 상승에 대한 저항으로 쐐기형 패턴 가능성 더보기 iPhone app 매출 규모 iTune 에 있는 iPhone app 스토어에 인기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면 사람들이 얼마나 다운받아갈까? 개발자는 얼마나 벌 수 있을까? 어플리케이션 하나로 몇 십억을 벌었다는 소문은 있었지만 확인된 것은 아니였지만,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어플리케이션중에 하나인 iFart 를 개발한 Joel Comm 는 그의 블로그에 일부 다운로드 기록을 공개 하였다. 12월 12일 부터 17일까지 총 7355회의 구매 혹은 다운로드가 발생했다. 이를 근거로 $0.99 씩 계산을 해보면 $7281.45 이 된다. 17일 이후에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현재 #1 overall 에 랭크 되어 있다. Sales and App Store Rank for iFart Mobile (official site link) 12.. 더보기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 두뇌는 각 상태에 따라서 다른 주파수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소리나 빛등으로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받게 되면 뇌파도 입력되는 주파수에 동조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마인드 머신이다. 뇌파의 분류는 보통 다음과 같다. > 40 Hz Gamma waves 13–40 Hz Beta waves 7–13 Hz Alpha waves 4–7 Hz Theta waves < 4 Hz Delta waves 하지만 문제는 인간의 청각 기관은 20 Hz 이하의 소리는 들을수가 없고 일반적인 음향기기 역시 그 이하의 주파수는 처리 할 수가 없다. 바이노럴 비트는 1839년에 발견 되었으며, 위의 그림처럼 두 주파수의 차이를 이용해 두뇌에 원하는 저주파 자극을 하게 되는 원리이다... 더보기 Deflation, Deleveraging, and the Stimulus Effect Forecast 2009: Deflation and Recession January 10, 2009 By John Mauldin We had a brief period last summer where inflation (as measured by the Consumer Price Index or CPI) was over 5%, and the trend was clearly up. The increase was almost entirely due to food and energy costs. Core inflation (less food and energy) was around 2%. Many commentators noted that real people actually bought gas and foo..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